티스토리 뷰
렌트카 업체 TOP 3를 오늘 포스팅에서 자세히 정리하여 다음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오늘은 렌트카 업체 TOP 3를 정리하고 있습니다. 오늘 정리하고 있는 렌트카 업체 TOP 3는 포스팅 작성 시점에서 확인하고 정리한 정보이니 향후 사정에 따라 변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렌터카 하면 보통 우리는 여행이나, 출장 또는 기분 전환등으로 단기로 차량 렌트를 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차량 렌트 후 지속적으로 타는 장기렌트카도 있습니다. 렌터카 업체에서 보면 렌트가 수요는 여행이나 출장시에 이용하는 단기 렌터카는 매출의 10% 수준이며 장기렌트가의 비중이 약 90%라고 합니다. 장기 렌트의 경우는 우리나라에서 자동차를 소유해야 한다는 개념이 조금씩 변하고 있음에서 오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차량 관리에 대한 부담이나 전기차 출시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신차를 바로 구매하기보다는 차량을 렌트하여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내 주요 렌터카 업체의 순위와 현황에 대해서 정리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렌트카 업체 TOP 3와 함께 읽으면 좋을 포스팅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여 소개하니 함께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렌트카 업체 TOP 3는 다음과 같습니다.
렌터카 시장에서 장기 렌터카와 단기 렌터카 비중은 9대 1입니다. 자차를 보유하고 있는 소비자는 렌터카를 여행이나 출장중에 잠깐 이용을 할텐데 사실 렌터카 업체에서는 단기렌트는 매출이 그렇게 크다고 할 수 없습니다. 장기 렌터카 시장은 코로나이후 급격히 그 이용이 증가하기도 하였습니다. 사회 전반에 걸쳐 비대면 서비스가 늘어나면서 대중교통 이용을 꺼리는 사람들이 늘기도 했었고 비대면 계약을 기반으로 하는 장기 렌터카 계약 서비스가 급격히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요즘 대부분의 렌터카 업체는 견적, 심사, 계약까지 온라인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렌터카 중에서 최근 시장 성장을 이끌고 있는 건 개인 및 개인 사업자 고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과거의 경우 법인 고객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장기 렌터카 시장이 이제는 개인 비중이 늘어가고 있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전체적인 시장 규모가 커졌습니다. 개인 고객의 인식 변화가 장기 렌터카 시장 성장의 가장 큰 요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제는 많은 분들이 차량을 꼭 소유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깨진 것 같습니다. 렌터카 업체의 보험료 대납, 차량 관리 대행, 사물인터넷(IoT) 기능 제공 등 펀리한 서비스로 내차 관리에 신경을 쓰고 싶지 않은 사람에게는 최적의 서비스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장기렌터카의 경우 신차 구매에 비해 진입장벽이 많이 낮습니다. 신차 구매 대비 초기 비용 부담이 다소 적기 때문에 사회초년생인 젊은 층들이 장기 렌터카를 이용하고자 하는 트렌트가 늘고 있습니다. 장기렌트의 경우 보통 연간 주행거리 제한이 있고 옵션과 트림 등 미리 정해진 차량만 임대할 수 있으나 계약 시 취등록세나 자동차세 지불에 따른 부담이 없습니다. 또한 보험료 등도 기업에 납입하는 월 임대료로 대체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기 때문에 장기 렌터카 소비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전기차 장기렌트를 하는 소비자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전기차 보조금 소진과 차량 인도 대기 기간이 길어져서 신차 구매자가 이럴 바에는 차라리 렌트카로 가자는 맘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차량 인도 시 우선순위가 높은 렌터카 업체는 전기차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일반 소비자가 받지 못하는 보조금도 받는 편이라고 합니다. 보조금 혜택을 받은 전기차를 장기 렌트할 경우 월 렌트료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와 렌터카 업체 모두 이득이라고 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렌터카 업체 TOP 3
국내 렌터카 산업에 등록된 차량은 2016년 63만 8050대였지만 2017년에는 73만 1864대로 급격히 늘어났습니다. 2019년에는 1분기에 이미 자동차 등록대수가 총 87만 9504대로 성장하기도 하였습니다. 2021년 1분기 기준으로는 등록대수가 108만 대를 초과했습니다. 제주도의 경우 렌터카 등록 대수는 2013년 1만대 수준이었지만 5년 후 2018년에는 두배로 성장하여 2만대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제주도 렌터카 현황
년도 | 렌터카등록대수 |
2013 | 10,101 |
2014 | 12,542 |
2015 | 16,103 |
2016 | 19,108 |
2017 | 19,555 |
2018 | 20,270 |
국내 렌터카 업체 순위(렌트가 보유 대수 및 시장 점유율 순위 2021년 1분기 기준)
1위: 롯데 렌터카 / 235,723대 (21.8%)
2위: SK 렌터카 / 208,092대 (19.2%)
3위: 현대캐피탈 / 129,469대 (11.9%)
4위: 하나캐피탈 / 34,616대 (3.2%)
기타 업체: 473,522대 (43.8%)
합계: 1,081,422대 (100%)
국내 렌터카 업체 순위 1위는 롯데렌터카 이며 롯데렌터카 시장점유율은 21%입니다. 국내 렌터카 업체 순위 2위는 SK렌터카입니다. 점유율은 19.2%입니다. 렌터카 순위 3위는 현대캐피탈로 점유율은 12%입니다. 하나캐피탈 렌터카는 점유율 3.2%이며 4위입니다. 국내 렌터카 시장의 부동의 1위 였던 롯데 렌터카는 2020년 초 SK렌터카가 출범하면서 양사 간 격차가 좁혀지고 업계가 양강 구도로 재편되고 있습니다. SK렌터카는 업계 2위이던 SK네트웍스가 업계 4위이던 AJ렌터카를 인수한 뒤 새로 만든 렌터카 브랜드라 할 수 있습니다. AJ렌터카는 1988년부터 30여년간 렌터카 사업을 이어온 전통의 렌터카 업체입니다. AJ렌터카의 경우 가장 경쟁이 심하다 할 수 있는 제주도에서 가장 많은 차량을 운영하고 있었고 한때 전국 180여 개 지점을 보유하기도 했었습니다. SK네트웍스는 2009년 후발주자로 렌터카 시장에 뛰어들었습니다. SK 모기업의 지원에 힘입어 빠르게 사업을 확대할 수 있었습니다. 2017년부터 업계 2위를 유지해 오고 있습니다.
오늘 정리하여 알려드린 렌트카 업체 TOP 3는 가장 최신 정보를 포스팅 작성 시점에서 확인하고 정리하였음을 알려드리며 향후 사정에 따라 변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렌트카 업체 TOP 3를 참고하시어 렌터카 이용에 도움이 되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렌트카 업체 TOP 3를 자세히 정리하여 알려드렸습니다.